(영상) 또 보잉이야?!…이륙 중 바퀴 고장 난 비행기, 목숨 건 탈출 [포착]

송현서 기자
송현서 기자
수정 2025-07-28 17:52
입력 2025-07-28 17:48
이미지 확대
현지시간으로 26일 미국 덴버에서 마이애미로 향할 예정이던 항공편 탑승객들이 이륙 전 랜딩기어 고장으로 멈춰 선 비행기에서 탈출하고 있다. 엑스 캡처
현지시간으로 26일 미국 덴버에서 마이애미로 향할 예정이던 항공편 탑승객들이 이륙 전 랜딩기어 고장으로 멈춰 선 비행기에서 탈출하고 있다. 엑스 캡처


미국 덴버 국제공항에서 이륙 준비 중이던 아메리카 항공 여객기에 갑작스러운 문제가 발생해 승객 100여 명이 긴급히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CBS뉴스는 27일(현지시간) “전날 덴버에서 마이애미로 향할 예정이던 항공편 탑승객들이 이륙 전 랜딩기어(착륙 장치) 고장으로 ‘큰 굉음’을 들었다”고 보도했다.

이날 덴버 국제공항에서 마이애미 국제공항으로 향하던 아메리칸항공 AA3023편은 이륙을 위해 활주로를 이동하던 중 갑자기 멈춰 섰다. 당시 비행기에는 탑승객 173명과 승무원 6명이 탑승해 있었으며 기종은 737 맥스 8로 확인됐다.

당시 여객기에 탑승해 있던 한 탑승객은 “비행기가 이륙하기 위해 속도를 높이는 동안 엄청난 굉음을 들었고 이내 좋지 않은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현지시간으로 26일 미국 덴버에서 마이애미로 향할 예정이던 항공편 탑승객들이 이륙 전 랜딩기어 고장으로 멈춰 선 비행기에서 탈출하고 있다. 엑스 캡처
현지시간으로 26일 미국 덴버에서 마이애미로 향할 예정이던 항공편 탑승객들이 이륙 전 랜딩기어 고장으로 멈춰 선 비행기에서 탈출하고 있다. 엑스 캡처


공개된 영상을 보면 활주로에 멈춰 선 여객기에서 희뿌연 연기가 솟아오르고 승객들은 슬라이드를 이용해 다급히 대피하고 있다. 슬라이드로 내려오는 승객 중에는 엄마 품에 안긴 아이도 있다. 갈수록 짙어지는 연기에 대피하는 승객들의 모습이 보이지 않기도 했다.

한 탑승객은 CBS에 “다행히 비행기가 공중으로 뜨기 직전 이런 일이 발생했다. 이륙까지 불과 5~10초 정도 남았던 것 같다”면서 “승무원이 항공기 문을 여는 데 시간이 걸렸지만 대부분의 승객은 안전하게 항공기에서 대피할 수 있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미지 확대
현지시간으로 26일 미국 덴버에서 마이애미로 향할 예정이던 항공편 탑승객들이 이륙 전 랜딩기어 고장으로 멈춰 선 비행기에서 탈출하고 있다. 탈출하는 탑승객 뒤로 바퀴 부분에서 치솟는 불길. 엑스 처
현지시간으로 26일 미국 덴버에서 마이애미로 향할 예정이던 항공편 탑승객들이 이륙 전 랜딩기어 고장으로 멈춰 선 비행기에서 탈출하고 있다. 탈출하는 탑승객 뒤로 바퀴 부분에서 치솟는 불길. 엑스 처


덴버 소방 당국은 “여객기 아래에서 불꽃이 뿜어져 나온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했으며 화재 진압을 위해 공항 전체의 운항이 일시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아메리칸항공 역시 “사고 여객기의 타이어에 문제가 발생했으며 정비팀이 운항을 중지하고 정밀 검사를 할 예정”이라면서 “이번 사고로 1명이 가벼운 상처를 입었으며 다른 승객과 승무원들은 안전하다”고 밝혔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착륙 장치 문제로 인한 사고로 보고 원인을 찾기 위한 조사를 시작했다.

‘보잉의 저주’ 언제까지 이어질까일련의 사고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보잉 항공기의 안전 문제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 몇 년간 보잉의 737 및 787시리즈는 각종 치명적 사고와 중대 결함, 품질 및 안전성 논란에 끊임없이 휘말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2025년 6월 12일 242명을 태운 에어인디아 여객기가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 아마다바드 공항 근처에서 추락했다. 사고 당시 모습. 엑스 캡처
2025년 6월 12일 242명을 태운 에어인디아 여객기가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 아마다바드 공항 근처에서 추락했다. 사고 당시 모습. 엑스 캡처


가장 최근 발생한 보잉 항공기 관련 대형 사고는 지난달 12일 인도 아메다바드 공항에서 발생한 에어인디아 소속 보잉 787-8 참사로 무려 270명에 가까운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이 사고와 관련한 예비 조사에서 사고 직전 연료 스위치가 꺼지는 이상 징후가 확인됐으나 아직 정확한 추락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지난 13일에는 나이지리아 최대 항공사인 에어피스 소속 보잉 737-300기종이 착륙 직후 활주로를 이탈했다.

지난 18일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LA) 국제공항에서 출발해 애틀랜타로 향하던 델타항공 446편 보잉 767의 왼쪽 엔진에서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

지난해 1월 미국 알래스카 항공의 보잉 737 맥스9 기종 여객기는 약 5000m 상공에서 동체의 도어 플러그 부분이 비행 중 이탈하는 사고가 있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FAA는 해당 기종의 전수 검사와 생산 중단을 지시했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