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수도요금 청구서 친절해진다…글씨 키우고·단어는 쉽게

유규상 기자
수정 2025-07-03 15:00
입력 2025-07-03 15:00

서울시는 이달 말부터 시민에게 발송하는 수도 요금 종이청구서의 디자인과 크기를 개선한다고 3일 밝혔다. 중복된 정보와 복잡한 구성으로 가독성이 떨어지고, 수십년간 계속 써온 어려운 용어 등으로 핵심 정보 파악이 쉽지 않았던 기존 청구서의 단점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청구서상 납부 금액, 납부기한, 고객번호 등 핵심 정보를 기존보다 크게 표시하기로 했다. ‘수용가번호’란 단어는 ‘점검번호’로, ‘수용가’는 ‘수도사용자’로 바꾼다. 중복 정보나 사용률이 낮은 수치 등은 과감하게 정리한다.
청구서의 규격도 줄인다. 기존 4단(21×35.5㎝) 크기의 청구서를 3단(21×28㎝)으로 축소해 인쇄와 발송 비용을 줄이고, 친환경 재생용지를 전면 도입한다. 연간 1200만건 이상의 수도 요금 청구서가 발행되는 점을 고려하면 청구서 규격 축소로 연간 약 5000만원, 재생용지 전환으로 약 2200만원의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시는 예상했다.
또 OCR(광학 문자인식) 밴드를 활용했던 기존 납부 방식 안내는 전자 납부 방식으로 전면 전환한다. 청구서 하단에 인쇄되는 OCR밴드는 요금 납부 시 기계가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장치다. 다만 이용률이 3.7%에 불과하고 공간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회승 서울아리수본부장은 “수도 요금 청구서 개편은 시민 편의와 환경보호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서비스 개선”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더욱 편리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유규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