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과자봉지 안에 은닉한 마약
수정 2025-07-29 16:00
입력 2025-07-29 16:00
/
7
-
29일 서울 강남구 서울본부세관에서 관세청 직원이 마약류 밀수 단속품을 공개하고 있다. 2025.7.29
연합뉴스 -
29일 서울 강남구 서울본부세관에서 관세청 직원이 마약류 밀수 단속품을 공개하고 있다. 2025.7.29
연합뉴스 -
29일 서울 강남구 서울본부세관에서 관세청 직원이 마약류 밀수 단속품을 공개하고 있다. 2025.7.29
연합뉴스 -
29일 서울 강남구 서울본부세관에서 관세청 직원이 마약류 밀수 단속품을 공개하고 있다. 2025.7.29
연합뉴스 -
29일 서울 강남구 서울본부세관에서 관세청 직원이 마약류 밀수 단속품을 공개하고 있다. 2025.7.29
연합뉴스 -
29일 서울 강남구 서울본부세관에서 관세청 직원이 마약류 밀수 단속품을 공개하고 있다. 2025.7.29
연합뉴스 -
29일 서울 강남구 서울본부세관에서 관세청 직원이 마약류 밀수 단속품을 공개하고 있다. 2025.7.29
연합뉴스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국경단계에서 총 617건, 2천680㎏의 마약을 적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적발 건수는 작년 동기 대비 70% 증가, 중량은 800% 늘어난 수준이며 중량 기준 역대 최대 적발량이다.
이는 약 8천933만명이 필로폰을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수준이다.
올해 상반기 강릉 옥계항과 부산신항에서 적발된 대형 코카인 2건(2천290kg)을 특이사항으로 제외하더라도 올해 상반기 적발 중량은 390kg으로 작년보다 31% 증가했다.
특히 중남미발 대규모 밀수 적발이 늘었다.
강릉 옥계항과 부산신항의 대규모 코카인 적발도 각각 페루, 에콰도르발로 파악됐다.
미국·캐나다의 고강도 국경 강화 조치에 따른 풍선효과로 중남미 마약 조직이 아시아 등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시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국내 밀반입 마약의 최대 출발 지역인 동남아발 여행자·화물 단속이 강화됨에 따라 유럽 지역을 새로운 공급처로 이용하는 것으로도 분석됐다.
종류별로는 코카인·케타민·마약 성분 의약품 밀수 적발이 늘었다.
코카인 밀수 증가는 최근 아시아 지역 전반에 나타나는 동향으로 확인됐다.
매년 가장 많이 적발되는 품목인 필로폰(152㎏)은 올해는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코카인(2천302㎏)에 이어 2위 수준이었다.
케타민(86㎏)은 2022년부터 적발 증가 추세다.
또한 여행자·특송화물 경로 밀수 적발이 증가하고 국제우편 경로는 감소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