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한 달 최휘영 문체부 장관 “‘K컬처 300조’ 시대 위해 전방위 지원”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수정 2025-09-04 15:57
입력 2025-09-04 15:57
이미지 확대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4일 서울 중구 모두예술극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4일 서울 중구 모두예술극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K컬처 300조원 시대는 그만큼 빠르고 폭발적으로 성장을 이뤄내겠다는 선언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숫자를 달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이후를 위해 기반을 다지는 일도 동시에 추진할 생각입니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4일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열린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정부가 국정과제로 제시한 ‘K컬처 300조 시대’에 대한 견해를 피력했다.

최 장관은 “K컬처의 개념과 분야를 차분하게 살피고 300조라는 목표를 어떤 방법으로 실현할 것인지에 대해 정리 중”이라면서 “훌륭한 문화예술인들을 끊임없이 길러내는 토양을 만드는 일부터 세계적인 문화산업을 이끄는 큰 기업들이 나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까지 정부가 전방위 걸쳐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취임 후 한 달 동안 각 분야의 문화 예술인들을 만난 최 장관은 “여러 현장을 돌아다니면서 보고 듣고 느낀 현실은 화려한 모습과 달라 당혹스럽고 당황스러웠다”고 돌이켰다.

그는 “엄청난 기회가 온 것은 맞지만 절망을 이야기하는 목소리도 현장에서 꽤 많이 나오고 있다”면서 “이대로 안일하게 가다가는 우리는 머지않아 깊은 수렁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말했다.

특히 최 장관은 영화 산업의 위기에 대해 “올해 국내에서 제작되는 제작비 30억원 이상의 영화가 20편도 안 된다고 한다”면서 “영화인들이 생계를 이어 나갈 수 없을 정도로 영화 산업의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K컬처가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려면 법과 제도부터 빨리 고쳐야할 것 같다”면서 “낡은 틀이 아직도 생존하고 있어서 이것부터 빨리 미래지향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최 장관은 공연 인프라 부족 해소도 당면 과제로 꼽았다. 그는 “전 세계 한류 팬들이 K팝의 성지인 한국에 와서 정작 공연을 못 보고 가는 경우가 많다”면서 “공연을 안 해서가 아니라 상시적으로 공연할 인프라가 없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이어 그는 “일본은 4만석 이상 규모의 돔구장이 5개인데 현재 하나를 더 짓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하나도 없다”면서 “K컬처가 더 커져 나갈 수 있으려면 문화적 기반이 더 잘 닦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 장관은 K컬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문화재정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해법을 내놓기도 했다. 그는 “내년도 문화재정이 올해 예산에 비해 9.2% 정도 늘어난다고 하는데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에서 우리나라는 문화재정 비율이 중하위권에 불과하다”면서 “예산 부분도 잘 보완해서 지금 우리가 맞이하고 있는 천금 같은 기회가 무산되지 않고 잘 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은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