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러 회동·북미 대화 가능성에 요동치는 한반도 정세… 조현 “北, 정상국가 위해 한미 협력 필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수정 2025-08-31 23:41
입력 2025-08-31 23:41

趙 “북한도 중러 관계 한계점 알아
북미 회담 성사 땐 北비핵화 계기”
위성락, 김정은 방한 가능성 유보

이미지 확대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80주년 행사 참석을 공식 발표한 가운데 북.중.러 정상들의 회동이 예상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김 위원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서울신문 DB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80주년 행사 참석을 공식 발표한 가운데 북.중.러 정상들의 회동이 예상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김 위원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서울신문 DB


북중러 3국 정상은 오는 3일 중국 80주년 전승절 열병식에서 처음 한데 모여 3국 간 협력 체제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미중 관세 협상 등 초대형 외교 일정이 줄줄이 예정된 가운데 북미 대화 가능성까지 거론되며 한반도 주변 국제 정세의 향방은 쉽게 단언하기 힘든 모습이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31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중과 관련, “그동안 북한이 러시아와 굉장히 가까워졌는데 아마 러시아의 한계를 알았을 것”이라며 “다소 소원해진 중국과의 관계를 복원할 기회를 보고 있었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러나 그것(대중 관계)의 한계도 이미 알고 있을 것”이라면서 “북한이 제대로 된 정상 국가가 되려면 언젠가는 미국, 또 우리와도 협력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전승절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북중러 협력을 강조하겠지만 예전 같은 ‘한미일 vs 북중러’ 대결 구도의 고착화로 볼 수는 없다는 의미다.

특히 지난 한미 정상회담에서 언급된 대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연내에 만난다면 한반도 주변 정세는 완전히 요동칠 가능성이 크다.

이런 가운데 이달 유엔 총회 및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다음달에는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이 개최된다. 특히 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이 참석할 경우 미중 정상회담을 비롯해 미러·미중러 정상회담 등 ‘빅 이벤트’가 한꺼번에 펼쳐질 수 있다.

다만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APEC 참석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김 위원장 참석에 대해서는 “기대치를 너무 부풀리거나 가능성을 띄우는 발언을 하기는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응하느냐가 관건인데, 그동안 북한은 소극적 태도를 보여 왔다”며 “너무 많은 기대를 갖는 것은 건설적이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조 장관도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북미 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매우 낮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조 장관은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궁극적으로는 북한 비핵화까지 갈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질 수 있다”면서 “매우 조심스럽게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허백윤 기자
2025-09-0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