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자유 비즈니스 도시’ 부산 만들려면… 특별법 제정해 뒷받침돼야”
구형모 기자
수정 2025-07-23 23:48
입력 2025-07-23 23:48
비전 강조한 박형준 부산시장
“산은 이전 이미 결론… 대체 안 돼퐁피두미술관, 수백년 효자 될 것”

부산시 제공
“진짜 부산의 미래를 위해서 중요한 건 ‘국제 자유 비즈니스 도시’를 만들자는 겁니다. 이게 바로 글로벌 허브 도시 부산입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난 16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민선 8기 남은 미해결 과제를 묻는 말에 이렇게 답하며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제도를 꼽았다. 박 시장은 “제도는 법으로 뒷받침돼야 한다”면서 “글로벌 허브 도시 특별법이든 북극항로 특별법이든 부산을 하나의 거점 도시로 만들자는 점에서 일맥상통한다”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초부터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개척을 강조하는 것에 관해서도 박 시장은 “부산을 북극항로에서 하나의 허브 기능을 할 수 있는 글로벌 거점 도시로 만들자는 것”이라며 “근본적인 생각에는 차이가 없다”고 했다.
하지만 산업은행 이전에 대해 박 시장은 “이 대통령이 다시 한번 충분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산업은행은 이미 오래전 2차 공공기관 이전 때 부산에 오는 것으로 결론 난 일”이라면서 “2차 공공기관 이전의 전체 그림이 발표되지 않으면서 생긴 문제인데, 어차피 2차 공공기관 이전을 해야 한다면 산업은행은 이전하지 않을 건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박 시장은 “산업은행 이전 대신 동남권 투자공사로 대체하자는 건 ‘고래’하고 ‘참치’를 바꾸는 식이어서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민선 8기 지난 3년에 대해 박 시장은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한 비전과 실천 전략이 옳았다”면서 “이것이 부산에 혁신의 파동을 일으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15분 도시’에 주목한 것도 사람과 사람이 적절한 시간과 공간 속에 ‘관계’를 맺어 갈 때 행복이 실현된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했다.
박 시장은 역대 어느 시장보다도 문화에 신경 쓰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사람들 삶의 질이 높아지면 최종적으로는 문화 영역에서 욕구를 지향하게 된다”며 “부산이 궁극적으로 문화 도시가 되지 않고서는 글로벌 도시가 될 수 없으며, 문화는 ‘행복도시’를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했다.
또 박 시장은 “관광 도시가 되려면 미술 도시가 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는 프랑스 루브르 등 세계 5대 미술관을 조 단위의 오일 달러를 쏟아부어 모두 유치했는데, 그 이유가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데 미술관만 한 게 없다는 분석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퐁피두미술관 조성 반대 의견에 대해서는 “이런저런 반대가 있지만 만들어 놓으면 수십년, 수백년 효자 노릇을 한다”고 자신했다.
부산 구형모 기자
2025-07-2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