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째 문 못 연 국가 전산망 ‘백업센터’…피해 막을 기회 놓쳤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수정 2025-09-29 14:42
입력 2025-09-29 14:42
이미지 확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공주센터 조감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제4센터)  계룡건설홈페이지갈무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공주센터 조감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제4센터)
계룡건설홈페이지갈무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국가 전산망이 마비되면서, 국가자원 공주센터가 제때 가동됐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부는 재해·재난 등 비상사태에 대비해 충남 공주에 국정자원 제4센터(재해복구 전용 데이터센터) 개청을 추진했지만 18년째 문을 열지 못하고 있다.

29일 국회예산정책처 2024년 회계연도 결산(행정안전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공주센터는 2008년 ‘정보보호 중기종합계획’에 따라 2012년 개청을 목표로 추진됐지만, 타당성 재조사 2차례와 사업자 선정 유찰 7회, 입찰방식 변경 등을 거치며 착공이 2019년에야 이뤄졌다. 이후 공사비 증액과 감리비 부족으로 공사 중단을 거듭해 2023년 5월에서야 건물 신축이 끝났다.

당초 정부는 2024년 11월 센터를 열 계획이었지만 2023년 11월 정부 행정 전산망 장애 사태를 계기로 기존 ‘패시브(수동) 백업’ 대신 ‘액티브-액티브 재난복구(DR)’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개청이 또 미뤄졌다. 액티브-액티브 DR은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 운영돼 한쪽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는 방식이다. 기존의 ‘백업 후 복구’보다 안정적이다. 하지만 사업 지연으로 지난해 예산액 251억5000만원 중 189억 8200만원만 집행되는 등 예산 집행이 늦어지면서 올해 5월 말 기준 공정률은 66.9%에 그쳤다. 계획대로라면 올해 10월 문을 열어야 하지만 현재로선 불확실하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공주센터에 DR시스템 구축하는 건 별도의 내부 시스템을 추가로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예산정책처는 “전쟁이나 대형 재난에 대비해 추진한 데이터센터가 10년 넘게 지연된 것은 문제”라며 “조속히 국가정보자원 백업센터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현정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