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 안고 숨진 이들, 1년 새 급증…자살 사망자 61.7% ‘빚의 덫’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수정 2025-10-01 16:45
입력 2025-10-01 16:45

자살자 부채비율 52.3%→61.7%
99% 사망 전 신호 보냈지만, 20%만 알아채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자살 사망자 10명 중 6명 이상이 생전 빚을 지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2023년만 해도 자살 사망자의 과반(52.3%) 정도가 사망 당시 부채를 지고 있었는데, 1년만인 지난해 61.7%로 대폭 확대됐다. 경제위기와 이로 인한 자영업의 몰락, 극심한 부채가 우리 국민을 극한 재난 상황으로 몰고 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1일 공개한 ‘2024년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개년(2022∼2024) 심리부검 대상 자살 사망자의 61.7%가 사망 당시 부채를 안고 있었다. 특히 재테크·투자 부채 비율이 23.5%로 지난 10개년(2015~2024)평균(13.9%)보다 급격히 늘었다. 주택 임차·구입 부채는 26.5%(10개년 2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유족 1420명을 면담해 도출한 자살 사망자 1250명의 심리·행동 기록을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는 “부채 증가와 함께 정신건강 악화가 자살위험을 키운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사망자 한 명이 경험한 스트레스 사건은 평균 4.3개였고, 이 중 정신건강 관련 스트레스가 79.9%로 가장 많았다. 성장 과정에서 받은 심리적 상처를 꼽은 비율도 68.2%로, 10개년 평균(50.6%)보다 크게 높아졌다.

사망 전 ‘위험 신호’를 보낸 이들은 99.3%에 달했다. ‘우울한 기분을 드러냄’(72.4%), ‘자살 언급’(70.4%), ‘수면·식사 변화’(69.7%, 56.5%), ‘대인관계 회피’(53.1%)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 신호를 알아챈 주변인은 20.1%에 불과해 10개년 평균(23.7%)보다 오히려 줄었다.

사망 전 치료나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이들도 61.3%로 5%포인트 늘었지만, 치료·상담을 중단한 비율은 41%로 여전히 높았다. 고용 형태는 피고용인이 36.1%로 가장 많았고, 26.8%는 소득이 전혀 없는 상태였다.

유족들의 고통도 심각했다. 면담 참여자의 99%가 사별 후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었고, 절반 이상(54.8%)이 자살을 떠올린 적이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73.4%가 고인의 사망 사실을 알리지 못했다, 사회적 낙인과 주변 반응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었다.



황태연 생명존중희망재단 이사장은 “부채 증가와 정신건강 악화가 자살위험 요인으로 명확히 확인됐다”며 “유족 지원과 함께 사회적 인식 개선, 조기 경고 신호 포착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현정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