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물 속 이산화탄소 포집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전환 [과학계는 지금]

유용하 기자
수정 2025-10-09 08:06
입력 2025-10-09 01:04

미국 해양대기관리청(NOAA) 제공
중국 전자 과학기술대 재료·에너지학부, 물리학부, 양쯔 삼각주연구소, 선전 고등과학기술원 합성생물학연구소, 중국과학원대, 난징대 화학·화학공학부 공동 연구팀은 바닷물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전구체(원료로 사용되는 초기 물질)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촉매’ 10월 7일 자에 실렸다.
바다는 지구 최대의 탄소 흡수원으로, 인간의 활동으로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약 25%를 흡수한다. 문제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해양 산성화가 가속하고 생태계 불안정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이에 연구팀은 바닷물에서 이산화탄소를 70% 이상 효율로 포집하면서도 에너지 소비는 이산화탄소 1㎏당 3킬로와트시( )로 낮게 유지하며 536시간(약 22일) 연속 운전이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했다.
이 시스템은 우선 이산화탄소를 전기 촉매 기술로 고순도 개미산으로 전환하고 공학적으로 개량한 세균을 이용해 개미산을 숙신산으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숙신산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폴리부틸렌숙신산염(PBS) 제조에 필요한 물질이다.
이번 연구는 산업용 화합물을 보다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할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유용하 과학전문기자
2025-10-09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