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TK 최대봉쇄’에 “지역 봉쇄 의미 전혀 아니다”

강주리 기자
수정 2020-02-25 14:50
입력 2020-02-25 14:12
文, 청와대 대변인에게 설명 지시
당정청 “대구·경북에 최대한 봉쇄 조치 시행” 발표에 비난 여론 수습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보낸 공지 메시지에서 “문 대통령은 당정청의 ’최대한의 봉쇄조치’ 표현이 지역적 봉쇄를 말하는 것이 아닌 코로나19의 전파와 확산을 최대한 차단한다는 뜻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당정청 발표 이후 대구·경북으로의 출입이 막히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자 문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선을 그은 것이다.
앞서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고위당정청 협의회를 열고 대구·경북에 최대한의 봉쇄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정부가 대구와 경북의 출입을 제한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다.

이후 코로나19의 집단 발병지였던 중국에서 들어오는 중국인들에 대한 입국 금지 조치는 내리지 않는 상황에서 자국민이 사는 대구·경북 지역을 봉쇄하는데 대한 비난 여론이 쏟아졌다.
민주당은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방역망을 촘촘히 해 코로나19 확산 및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를 의미한다”면서 “지역 출입 자체를 봉쇄한다는 의미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정부 “봉쇄전략은 방역용어…우한처럼 지역 자체 봉쇄 의미 아냐”

김 조정관은 “방역용어로서 봉쇄전략과 완화전략이라는 게 있다”면서 “봉쇄전략은 발생의 초기 단계에서 추가적인 확산을 차단하는 장치로 입국을 차단하고 접촉자를 빨리 찾아내서 추가적인 확산을 방지한다든지 해서 추가적인 확산을 차단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또 “최대 봉쇄조치는 지금 대구 지역에서 방역 상의 의미로서의 봉쇄정책을 최대한 가동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