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가계빚 1952조 8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주담대 ‘영끌’로 증가폭 확대

황비웅 기자
수정 2025-08-19 16:19
입력 2025-08-19 16:19

올해 2분기 가계빚이 약 1953조원에 달해 지난 1분기에 이어 다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6·27 대출 규제 직전 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을 구매한다는 ‘영끌’과 대출로 주식에 투자하는 ‘빚투’가 급증한 탓이다. 특히 2분기 가계빚 증가 규모는 1분기보다 10배가량 크게 확대됐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52조 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전 분기(1928조 3000억원)에 2조 3000억원 늘어난 것과 비교해 24조 6000억원이나 늘어 10배 이상 폭증했다. 분기 증가 폭은 35조원 증가한 2021년 3분기 이후 최대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지난해 1분기 3조 1000억원 줄었지만, 한 분기 만에 반등한 뒤 올해 2분기까지 다섯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대출이 증가한 배경에 대해 “2월 이후 주택매매 거래량이 크게 늘어 시차를 두고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영향을 미쳤다”면서 “은행 등의 신용대출이 증가한 데다 2분기 주가가 큰 폭으로 반등해 증권사 신용공여도 급증하면서 기타대출 역시 늘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뺀 가계대출만 보면, 2분기 말 잔액은 1832조 6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1809조 5000억원)보다 23조 1000억원 불었다. 증가액은 전 분기(3조 9억원 증가)의 약 6배에 이른다. 주담대(잔액 1148조 2000억원)가 14조 9000억원 늘었고, 신용대출과 증권사 신용공여 등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684조 4000억원)이 8조 2000억원 증가했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잔액 993조 7000억원)이 지난 3개월간 19조 3000억원 늘었다. 주담대 16조원, 기타대출 3조 3000억원 각각 불었다.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잔액 314조 2000억원)도 3조원 증가했다.
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막은 6·27 부동산 대책이 나왔지만 주택구입용 주담대는 2~3개월 정도 시차를 두고 일어나기 때문에 3분기 대출 증가폭도 커질 수 있다. 한은 측은 향후 가계신용 전망에 대해 “주택매매 거래가 지난 6월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한 만큼 주택구입용 주담대를 중심으로 당분간 높은 증가세를 보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황비웅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