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화 회사채 16조 직접 갚아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동용 기자
수정 2025-08-22 00:51
입력 2025-08-22 00:51

정부, 업계와의 간담회서 요구

김정관 “구조조정 3~4년 내 끝내야”
대주주 배당금 7조 거론하며 압박
금융위 자구 노력 전제 지원 방침
사업 재편 때까지 기존 여신 유지
글로벌 공급 과잉에 따른 경쟁력 약화로 고사 위기에 빠진 석유화학(석화) 업계에 16조원대 회사채를 직접 갚아야 한다는 방침을 정부가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석화 업계에 자구 노력과 사업재편 계획 타당성을 조건으로 구조조정을 지원하기로 했다.

21일 정부 등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전날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석화 기업들과의 비공개 간담회에서 “시장성 차입 14조원과 외화증권 2조원은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상환해야 한다”는 취지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본은 석유화학 구조조정에 10년이 걸렸지만 한국은 3~4년 내에 끝내야 한다”며 속도전을 예고했다. 그동안 대주주들이 받아 간 배당 금액이 7조원에 이른다는 점을 거론하며 자구 노력을 압박했다고 한다.

이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의 발언과도 맞닿아 있다. 김 실장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석화 산업은) 여력이 있다. 누적된 이익도 많고, 살리려면 본인들의 범위 내에서 최대한 해야 한다”며 “지난 몇 년간의 (이익은) 킵하고, 어려워지고 나서 발행한 채권이나 대출은 채권은행이나 투자자가 알아서 해라, 이건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금융위도 이날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5대 시중은행 간담회를 열고 석화 기업들의 자구 노력과 사업재편 계획 타당성을 조건으로 한 지원 방침을 밝혔다. 다만 사업재편 계획이 확정될 때까지 기존 대출은 회수하지 않기로 했다. 다음달 은행연합회 주도로 ‘채권은행 협약’을 맺은 뒤 옥석 가리기를 본격화할 전망이다.

정부는 전날 발표한 석화 업계 구조조정 계획에서 산업단지별·업체별 에틸렌 생산량 감축 목표 등을 연말까지 받아 보기로 했다. 기업들은 회사채 상환·차환 계획 등 차입 문제 해결 방안을 제출해야 한다. 금융 지원은 이후 채권단이 결정한다. 석화 업체들의 금융권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는 약 32조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날 “물에 빠지려는 사람을 구해 주려고 하는데 보따리부터 내놓으라는 것과 같다. 안이한 인식에 유감을 표한다”면서 “대주주와 계열 기업은 뼈를 깎는 노력과 구체적인 계획, 신속한 실행으로 시장을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 강동용·서울 황인주 기자
2025-08-2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