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값 안정화…“6·27대책에 매수 관망세”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수정 2025-08-21 15:47
입력 2025-08-21 15:40
이미지 확대
한국 부동산원 제공
한국 부동산원 제공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을 6억원으로 제한하는 내용의 6·27 대출 규제가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대책 발표 이후 8주째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전국 아파트값도 11주만에 보합으로 돌아섰다.

2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8월 셋째 주(8월 18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00%로 직전 주와 같았다. 지난 6월 2일(0.00%) 마지막으로 보합을 기록한 뒤 서울 등 수도권 가격 상승 영향으로 오름세를 이어가다 11주 만에 보합세를 보였다.

6·27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지속해 줄어든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서울은 이번 주 0.09% 상승하면서 지난주 0.1%에서 상승폭을 0.01%포인트 축소했다. 지난달 23일 0.43%로 6년 9개월 만에 상승률 최고치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상승폭이 4주 만에 3분의 1 수준으로 낮아진 것이다.

강남3구 중 서초구(0.16%→0.15%)와 강남구(0.13%→0.12%)는 각각 0.01%포인트, 송파구(0.31%→0.29%)는 0.02%포인트 각각 상승폭이 줄었다. 강북권에서는 성동구(0.24%→0.15%)와 마포구(0.11%→0.06%)가 상대적으로 상승세 위축 정도가 컸다. 용산구(0.10%)도 직전 주보다 0.03%포인트 낮아졌다. 종로구(0.04%→0.05%)와 중구(0.03%→0.09%)는 상승폭이 확대됐다.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신축·재건축 추진 단지 등 선호 단지에서 국지적으로 상승계약이 체결되며 매매가격이 오르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며 상승폭이 소폭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경기도는 매매가격 변동률이 보합 전환한 가운데 과천시(0.22%→0.20%)와 성남시 분당구(0.19%→0.17%) 상승률이 각각 0.02%포인트 낮아졌다. 수도권 전체(0.03%)로는 상승세가 직전 주 대비 0.01%포인트 둔화했다. 지방(-0.01%→-0.02%)은 하락폭이 소폭 확대됐고 5대 광역시는 0.02%, 8개 도는 0.02% 각각 하락했다. 직전 주 0.03% 상승했던 세종시는 보합으로 전환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직전 주(0.01%)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 전체(0.2%) 상승률도 직전 주와 같았고, 지방은 보합을 유지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정부에서 다음 달 중 부동산 공급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밝히면서 시장의 관망세가 유지되고 있다”면서 “정부가 돈을 풀면서 통화량이 증가한 상태여서 공급대책이 미흡할 경우 서울 인기 단지를 중심으로 아파트값 상승을 부를 수 있다”고 했다.

김기중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