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국회의원 한복 입기
이종락 기자
수정 2025-09-01 00:11
입력 2025-08-31 23:44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한복을 입고 발언대에 올랐다. 백 의원은 “앞으로 국회 개회식 때 국회의원 전원이 한복을 입자”고 제안했다. 백 의원은 “우리 문화를 존중하는 자세를 국내외에 천명하는 동시에 세계를 향한 강력한 문화 외교의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흘 뒤인 지난 30일에는 우원식 국회의장이 가세했다. 우 의장은 페이스북에 “이학영·주호영 부의장 두 분과 함께 정기국회 개회식 때 한복을 입자고 의원들께 제안했다”고 밝혔다. 국회의원들이 함께 한복을 입고 본회의장에 앉은 모습이 국민과 전 세계인에게 한국 문화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북돋우는 계기가 될 거라는 취지였다.
이런 시도는 해외에서도 있었다. 일본 의원들은 매년 정기국회 개원일(1월)에 여성은 기모노, 남성은 하오리하카마 같은 전통 의상을 입고 등원한다. 국회 내 동아리인 ‘일본전통의상의원연맹’ 소속 의원들이 주도했다.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는 한복을 패션이자 놀이의 소재로 받아들이는 문화가 자리매김해 있다. 한국을 찾은 외국 젊은이들은 세계를 매혹시킨 한류의 상징인 한복을 입고 인증샷을 날리는 것을 ‘버킷리스트’의 하나로 꼽는다. 이런 추세를 두고 일부 전문가들은 우려를 내놓기도 한다. 한복은 옷 전체에 흐르는 곡선은 물론 대님과 옷고름의 맺음에 고유의 아름다움이 깃들어 있는데 개량한복으로는 이 가치를 살려 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렇더라도 기성세대가 외면했던 한복의 위상을 세계적 전통 의상으로 올려놓은 청년 세대의 공은 크다. 다행히도 1997년부터 10월 어느 날을 ‘한복 입기 가장 좋은 날’로 정해 해마다 행사를 열어 오고 있다.
이번 정기국회 때는 우 의장을 비롯한 일부 의원만 한복을 입기로 했다. 내년에는 여야 의원 전원이 한복을 입고 국회에 등원해 그날만큼은 화합과 협치의 모습을 보여 줬으면 한다.
이종락 상임고문
2025-09-0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