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절 행사서 은밀한 사담 포착
‘영생불사’ 대화 지구촌 시선 쏠려
72세 시진핑 13년째 권좌 지켜와
73세 푸틴 5회 중임 현대판 차르
권력 집착이 건강 관심 이어진 듯
지난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서 중러 정상이 장기 이식과 불멸을 소재로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생중계 화면에 포착됐다. 권위주의 체제에서 장기 집권해 온 ‘스트롱맨’ 지도자들이 ‘영생불사’에 깊은 관심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지구촌 여론의 시선이 쏠렸다.이날 로이터통신, BBC 등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승절 행사장에서 나란히 걸으며 나눈 대화가 ‘핫 마이크’(hot mic)로 포착됐다. 핫 마이크는 유명인들이 마이크가 켜진 줄 모르고 은밀한 대화를 나눴다가 의도치 않게 공개돼 곤욕을 치르는 일을 말한다.
두 정상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등 주요 외빈들은 열병식을 지켜보기 위해 톈안먼 망루로 이동했고, 이 모습은 관영 중국중앙(CC)TV 화면으로 생중계됐다. 이 과정에서 푸틴 대통령의 통역사가 중국어로 “생명공학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고 시 주석에게 말한다. 이어 알아들을 수 없는 대화가 이어진 뒤 푸틴 대통령의 통역사는 “인간의 장기는 계속해서 이식될 수 있다. 당신은 오래 살수록 젊어지고 심지어 불멸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화면 밖에 있던 시 주석이 중국어로 “일각에선 이번 세기에 인간이 150살까지 살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고 답했다. 로이터는 “김정은이 미소를 지으며 두 사람을 바라보고 있었지만 이들의 대화가 그에게도 통역됐는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러시아 정부와 중국 외교부에 이런 대화와 관련한 입장을 요청했지만 답변을 듣지 못했다.
시 주석은 1953년 6월, 푸틴 대통령은 1952년 10월생으로 각각 72세, 73세다. 시 주석은 2012년 이후 13년째 권좌를 지키고 있으며 4연임까지 노리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2000~2008년 3·4대 대통령 재임 이후 2012년부터 다시 3연임 중이다. 무려 5회 중임으로 현대판 ‘차르’로 군림하고 있다. 1984년생인 김 위원장은 올해 41세로 두 정상과 비교하면 젊은 나이지만 초고도 비만에 심혈관 질환 등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스트롱맨 지도자의 장기 집권에 대한 집착이 건강을 향한 관심으로까지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반발 세력과 권력자 본인의 건강은 권위주의 체제를 전복할 2대 변수로 꼽히기 때문이다.

텔레그램 캡처
한편 이날 김 위원장 수행원들이 댜오위타이(조어대) 국빈관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 직후 DNA 흔적이 남지 않도록 청소하는 모습이 4일 러시아 언론인 알렉산더 유나셰프가 촬영한 1분 분량의 영상을 통해 공개됐다. 수행원들은 김 위원장이 쓰던 유리잔을 챙기고 그가 앉았던 곳은 물론 등받이와 팔받침, 옆 테이블 중 손길이 닿았을 만한 위치까지 45초가량 꼼꼼하게 닦은 뒤 사용한 티슈마저 챙겨 자리를 떴다. 북한이 가장 가까운 동맹국인 중국이나 러시아에조차 김 위원장 관련 건강정보를 철저히 숨기려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재연·최영권 기자
2025-09-05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