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초밥 전량 폐기” 사태…‘만지고 핥고’ 일본인들 왜이러나 [이런 日이]
윤예림 기자
수정 2025-10-15 15:30
입력 2025-10-15 14:49

2023년 이른바 ‘초밥테러’로 골머리를 앓던 일본 회전초밥 업체들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대책을 내놓았지만, 피해는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여학생들이 회전대 위에 진열된 회전초밥에 침을 묻히거나, 간장병에 직접 입을 갖다 대는 영상을 올려 공분을 샀다.
15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에 따르면 일본 대형 회전초밥 체인인 쿠라스시는 전날 “야마가타 미나미다테점에서 손님이 회전대 위의 초밥에 손을 대는 등의 민폐 행위를 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1일 엑스(X) 등 소셜미디어(SNS)에서는 쿠라스시에 방문한 한 여학생이 회전대 위에 놓인 초밥을 맨손으로 만지는 영상이 올라와 논란이 일었다.
이 학생은 초밥 접시의 뚜껑을 일부러 열더니 초밥을 여러 차례 만지고는 그대로 뚜껑을 닫았다. 이런 사실을 모른 다른 손님이 만져진 초밥을 먹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또 다른 영상에는 공동으로 사용하는 간장을 간장병째로 입에 털어넣는 모습도 담겼다. 이 학생은 간장병 입구를 혀로 핥기도 했다.
쿠라스시는 사태를 파악한 직후 해당 점포의 회전대 위 모든 초밥을 교체했으며, 간장·고추냉이 등 공동 조미료 용기도 소독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해당 여학생의 신원을 특정한 상태로, 경찰과 협의해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쿠라스시는 “절대 용납할 수 없는 행위이며, 엄정하게 대응하겠다”며 “모든 비품을 소독하는 등의 대응책을 앞으로도 계속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사회적 문제 된 ‘초밥테러’…고발 조치까지일본 회전초밥 업계에서 이 같은 초밥테러는 2023년쯤부터 일종의 모방 범죄처럼 번지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됐다.
이에 쿠라스시는 같은 해 민폐 행위 방지 대책으로 회전대 위 접시 덮개의 비정상적인 개폐 등 이상 징후를 감지하는 인공지능(AI) 카메라를 전 점포에 설치하고, 손님이 바뀔 때마다 테이블 위 조미료를 교체하는 등의 조치를 시행했다.
회전초밥 업체들은 적극적으로 고발 조치를 취하며 강경하게 대응하고 있다. 쿠라스시는 지난 3월 도쿄에 있는 매장의 접시 반납구 위에 사용 흔적이 있는 콘돔을 올려둔 남학생 A(16)군을 고발했다. A군은 지난 6월 위계업무방해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회전초밥 체인 스시로 역시 2023년 한 남학생이 간장병 입구를 핥고 초밥에 고의로 침을 묻힌 영상이 확산하자, 해당 남학생을 상대로 약 6700만엔(약 6억 2700만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영상이 퍼지면서 한동안 매출이 급감했고, 모회사 주가는 5% 가까이 폭락했다.
다만 스시로는 “남학생 측이 책임을 인정해 납득할 만한 내용으로 합의가 이뤄졌다”며 소송을 취하했다.
회전 시스템을 아예 포기한 업체도 있다. 조시마루는 한 남성 손님이 생강절임 통에 담배꽁초를 넣는 행각을 벌이자 주문식으로 운영 방침을 변경했다. 좌석마다 터치스크린을 도입하거나 직원을 불러 주문하는 방식이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다른 사람 음식에 침을 뱉거나 만지는 영상은 회전초밥 전통을 소중히 여기는 이들을 경악시켰고 업계에도 큰 타격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윤예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