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죽음 축하했나”…찰리 커크 비판 외국인들, 줄줄이 비자 취소

윤태희 기자
윤태희 기자
수정 2025-10-15 13:57
입력 2025-10-15 13:57

트럼프 행정부 “미국인 암살 옹호 못 해”…표현의 자유 놓고 논란 확산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10월 14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고(故) 찰리 커크에게 자유의 메달을 추서하기에 앞서 연설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10월 14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고(故) 찰리 커크에게 자유의 메달을 추서하기에 앞서 연설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미국 국무부가 암살된 우익 청년 활동가 찰리 커크를 비판하거나 그의 죽음을 조롱한 외국인 최소 6명의 비자를 취소했다고 1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N방송이 보도했다.

국무부는 이날 SNS 플랫폼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을 통해 “커크의 암살을 축하한 비자 소지자들의 신원을 계속 확인 중”이라며 “미국은 미국인의 죽음을 바라는 외국인을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미국에서 더 이상 환영받지 못하는 체류자들”이라며 커크 암살을 옹호하거나 그의 생전 활동을 비난한 SNS 게시물과 캡처 이미지를 함께 공개했다.

6개국 외국인 비자 취소
이미지 확대
미 국무부가 공유한 커크 비판·암살 지지한 외국인 SNS 게시글. 미국 국무부 엑스 캡처
미 국무부가 공유한 커크 비판·암살 지지한 외국인 SNS 게시글. 미국 국무부 엑스 캡처


공개된 예시에는 △커크를 “인종차별·외국인 혐오·여성 혐오 발언을 퍼뜨린 인물”로 지목한 아르헨티나인, △커크 추모자들을 조롱한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적자, △“죽어 마땅한 사람이 있다”는 글을 올린 멕시코인 등이 포함됐다.

국무부는 이외에도 브라질·독일·파라과이 국적자의 비자도 취소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들의 체류 지역이나 비자 종류 등 세부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국무부 대변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이민법을 엄격히 집행해 미국의 국경·문화·시민을 지킬 것”이라며 “미국의 환대를 악용해 자국민의 암살을 축하한 외국인은 추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CNN은 전했다.

“표현의 자유 침해” 비판도 확산그러나 이런 조치가 헌법 수정 제1조(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도 커지고 있다.

미국 자유표현재단(FIRE)의 변호사 코너 피츠패트릭은 “트럼프 행정부는 단순한 의견 표현을 이유로 사람들을 처벌하고 있다”며 “비시민권자에게도 발언의 자유는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FIRE는 현재 전쟁 비판 발언을 이유로 학생 비자를 취소당한 외국인들을 대리해 미 행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진행 중이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국무부 법률고문을 지낸 해럴드 홍주 코 하버드대 교수도 “커크의 죽음을 둘러싼 발언을 이유로 비자를 취소하는 것은 명백한 수정헌법 1조 위반”이라며 “대통령의 외교권을 이용한 보복적 조치이며, 적용 기준이 모호하고 자의적”이라고 비판했다.

전직 국무부 자문 변호사 스콧 앤더슨(브루킹스연구소) 역시 “합법적으로 미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은 상당한 표현의 자유를 가진다”며 “다만 해외 거주자나 임시 비자 신청자는 그 권리가 제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국민 보호 우선”…커크에 ‘자유의 메달’ 추서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10월 14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보수 논객 고(故) 찰리 커크에게 자유의 메달을 추서하며, 그의 아내이자 터닝포인트USA 신임 대표인 에리카 커크에게 메달을 전달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10월 14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보수 논객 고(故) 찰리 커크에게 자유의 메달을 추서하며, 그의 아내이자 터닝포인트USA 신임 대표인 에리카 커크에게 메달을 전달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한편 커크는 트럼프 대통령 지지층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청년세대의 상징적 인물로, 지난달 10일 유타밸리대학 행사 도중 괴한의 총격으로 사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튿날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그에게 자유의 메달을 사후 수여하며 “그의 신념은 미국의 가치 그 자체였다”고 추모했다.

커크 암살 직후 국무부는 폭력을 미화하거나 조롱하는 글이 확산하자, “관련 외국인에 대해 비자 취소 등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경고했다. 크리스토퍼 랜도 부장관은 당시 “미국인을 보호하기 위해 외국인의 SNS 발언을 감시하겠다”고 밝혔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