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캄보디아에서 4개월 감금 30대 “15㎏ 살 빠지고 겨우 탈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수정 2025-10-21 14:13
입력 2025-10-21 10:29

일주일 생활한 친구 1700만원 내고 한국 돌아가
5시간 자고 하루 14시간 일해
한국 여자들 봉급 1500만원씩 받고 출퇴근

이미지 확대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납치·감금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6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인근 범죄단지로 알려진 ‘망고단지’ 외벽에 철조망이 깔려있다. 연합뉴스.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납치·감금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6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인근 범죄단지로 알려진 ‘망고단지’ 외벽에 철조망이 깔려있다. 연합뉴스.


“180㎝에 95㎏로 건장하다는 얘기를 자주 들었는데 집으로 돌아올때는 70㎏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몰골이 말이 아니었어요. 그 당시 생각만 하면 지금도 끔찍하기만 합니다.”

최근 한국인 대상 취업사기와 감금 사건 등 각종 범죄로 문제가 되고 있는 캄보디아의 온라인스캠범죄단지에서 생활했었던 A(36)씨는 당시의 상황을 이렇게 설명했다. 그는 지난해 6월부터 10월까지 4개월 동안 이곳에서 감금 생활을 했었다.

광주광역시에서 인터넷 쇼핑몰 운영을 했던 A씨는 캄보디아에 있는 친구 선배로부터 “간단한 웹 개발을 하는 일이고, 한달에 600~700만원 봉급에 5성급 호텔 생활, 불법행위는 일체 없다”는 말을 듣고 친구와 함께 떠났다. 처음에 베트남에 도착한 후 4시간 정도 차를 타고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으로 이동했다. 시내 중심가에 있는 ‘원구단지’였다. 태자단지와 망고단지 등 3개 단지 중 제일 큰 단지다고 했다.

별 의심 없이 들어갔지만 곧바로 여권과 핸드폰을 빼앗기고, 4평 정도 되는 방에서 2층짜리 철제 침대에서 4명이 생활했다. 캄보디아 현지인들과 중국인들이 기관총을 메고 입구 앞을 지키면서 단지 안에 갇혀 지내는 생활이었다. 도착 당시에 중국, 파키스탄, 인도 사람들도 보이고 한국사람들은 60명 정도 있었다고 했다.

같이 간 친구가 일주일을 버티지 못하고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하소연을 하자 소개비 등의 돈을 내고 가라고 해 한국에 있는 부모님이 보내준 1700만원을 중국인에게 주고 돌아갈수 있었다.

첫달에 1500달러를 받은 A씨는 조금 버티면 돈을 벌수 있다는 말에 참고 견뎠다. 이들에게 지시된 업무는 주식 리딩방 피싱 일이었다. 불법이기도 하고 나중에 잘못될 수도 있고 해서 거절 의사를 보인 순간 폭행 등 사달이 나기 시작했다. 조선족이 중국인들과 통역을 하면서 지시를 했다.

네이버 밴드에 주식 정보 등의 홍보를 해 피해자들을 모으는 일을 할당 받았다. 잠은 5시간 밖에 못자고, 쉬지도 못한 채 하루 14시간 동안 일할 정도로 힘든 시간이었다. 이 과정에서 MBC PD 수첩에서 캄보디아의 불법 행위가 다뤄지고 우리나라 국가수사본부장이 캄보디아 현지로 들어온 일이 있었다. 한국에서 수사 하러 나온다는 소식에 캄보디아 경찰 고위 간부가 그 단지의 높은 사람한테 “이틀 뒤에 단속 들어가니까 단지내에 있는 한국 사람들은 다 밖으로 빼라”는 지시에 호텔로 급히 옮겨지는 어수선한 과정에서 급히 탈출할 수 있었다.

한국대사관으로 피한 A씨는 긴급 여권이 나오는 일주일 동안 어떻게 알았는지 조선족들이 연락을 통해 “밖으로 나오면 여권을 돌려주겠다”는 말도 들었다. 그는 한국에 있는 부모님에게 연락 해 받은 130만원으로 항공기 티켓을 끊고 무사히 돌아올수 있었다.



A씨는 “여성들은 월급을 많이 주고 있었고, 그곳에서 봤던 보이스피싱하는 여자들은 매달 1500만원씩 봉급을 받고 있어 출퇴근 하면서 생활하고 있다”며 “범죄단체들이 캄보디아 단속 얘기가 계속 나오니까 지금은 미얀마나 라오스 쪽으로 이동했을 것이다”고 했다. 그는 “큰돈 벌려고 욕심 부려서 가는데 결코 그런 돈이 나올수 없다”며 “전기 충격기도 있고, 구타를 하더라도 사람이 살아 있는 상태에서 넘겨야 돈을 더 번다고 할 정도의 인식이 팽배한 곳인 만큼 절대 가면 안된다”고 이를 앙다물었다.

순천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