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전체가 쏟아졌다”… 632㎜ 폭우·산사태에 쑥대밭 된 산청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창언 기자
이창언 기자
수정 2025-07-21 00:15
입력 2025-07-20 23:41

‘전 군민 대피’ 문자에도… 인명 피해

순식간에 ‘움직이는 재난’ 된 와룡산
70대 부부·20대 청년 산사태 휩쓸려
토사 덮친 집터는 기와지붕만 남아
“소 축사 잠깐 들렀다 참변 너무 억울”
이미지 확대
상능마을 할퀴고 간 폭우
상능마을 할퀴고 간 폭우 20일 경남 산청군 생비량면 상능마을이 전날 300㎜에 육박하는 폭우로 산사태가 발생해 토사에 뒤덮여 있다.
산청 뉴스1


“귀를 찢는 듯한 굉음이 난 후 전기가 갑자기 나가더니 커튼 틈으로 산이 밀려오는 게 보였어. 토사가 아니라 산 전체가 쏟아졌어. 살아 있다는 게 이상할 정도야.”

20일 오전 경남 산청군 산청읍 부리 내부마을에서 만난 노명수(70)씨는 원망스러운 듯 맑게 갠 하늘을 연신 쳐다봤다. 그의 뒤편으로는 토사와 바위에 무너진 주택 잔해들이 뒤엉켜 있었다. 해발 416.7m의 와룡산 자락이 순식간에 무너져 내린 자리였다. 노씨는 “잠깐 농장을 둘러보고 집이 안전하겠다 싶어 돌아왔는데, 안전한 곳은 없었다”며 “휴대전화도 못 챙기고 뛰쳐나와 마을 둑 위로 피신해 겨우 구조됐다”고 말했다.

이날 산청 지역에는 경남에서 가장 많은 632㎜의 비가 쏟아졌다. 비는 16일부터 20일 새벽까지 닷새간 이어졌고, 산청은 수마에 잠겼다. 지난 3월 대형 산불로 4명이 숨지고 287억원의 피해를 봤던 그곳이다.

이미지 확대
율곡사 보물 할퀴고 간 폭우
율곡사 보물 할퀴고 간 폭우 20일 경남 산청 율곡사의 보물 제374호 대웅전이 파손된 모습.
산청 연합뉴스


노씨 부부는 가까스로 목숨을 건졌지만, 맞은편에 살던 70대 부부와 20대 청년은 산사태에 휩쓸려 숨졌다. 바윗덩이와 토사가 덮친 집터에 기와지붕만 남았다. 숨진 70대 부부의 사돈 최성순(72)씨는 “소 보러 축사에 잠깐 나갔다가 참변을 당했다”며 “하소연할 데도, 따질 데도 없다. 너무 억울하다”고 울먹였다. 20대 희생자의 이모부는 “조카는 이제 막 인생을 시작하려던 참이었다”며 말을 잇지 못했다.

이날 오전 기자가 찾은 내부마을은 마치 폭격을 맞은 듯 초토화돼 있었다. 산 정상에서 좌측 300m가량의 경사면은 흙더미로 뒤덮였고, 나무는 뿌리째 뽑혔거나 허리째 꺾였다. 도로도 흔적 없이 사라졌다. 거꾸로 엎어진 승용차, 옆으로 쓰러진 트럭, 흙에 파묻힌 차량들이 뒤엉켜 있었다. 전봇대는 뽑혀 넘어졌고, 도로 중앙분리대는 바위에 찢겨 종잇장처럼 너덜거렸다. 마을은 말 그대로 ‘유령촌’이 됐다.

내부마을 이장 김광만(62)씨는 “1981년 태풍 아그네스 때 이웃 마을에서 산사태로 4명이 숨졌는데 악몽이 고스란히 되살아났다”며 고개를 떨궜다.

피해는 산불이 났던 시천면보다 산청읍에 집중됐다. 내리에서도 산사태로 2명이 숨졌다. 산청군은 전날 오후 1시 50분쯤 ‘전 군민(지난달 기준 3만 3086명)은 즉시 대피하라’는 긴급재난문자를 보냈지만 인명 피해를 막을 순 없었다. 19일 오전 짧은 시간 안에 산청읍에 유독 많은 비가 내렸던 게 원인으로 지목된다. 산청읍 외에 단성면 등에서도 실종자가 발생해 인명 피해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산청 주민 A(67)씨는 “지리산 자락 아래 살며 산을 자랑 삼아 살았는데 이제는 두려움이 앞선다”며 “고령자가 많은 지역이라 복구는커녕 일상 회복도 외부 도움 없이는 어렵다”고 했다.

산청 이창언 기자
2025-07-2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