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119 차량 한 대론 안돼요, 7명입니다”… 청도 열차사고 기관사 다급했던 무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효준 기자
수정 2025-08-22 00:49
입력 2025-08-22 00:49

사고 당시 역 관계자와 교신 내용
사고 전 ‘작업자 유무’ 무전은 없어
안전감시원 교육 없이 투입 정황도
‘코레일 책임론’ 한문희 사장 사의

“119 차량 한 대론 안 됩니다. 7명입니다, 7명.”(사고 열차 기관사)

21일 서울신문이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청도열차 사고’ 당시 무전 녹취록에는 사고현장과 인접한 남성현역·청도역 관계자와 사고 열차 기관사 간의 대화가 담겼다.

녹취록을 보면, 지난 19일 오전 10시 49분쯤 남성현역에서 청도역으로 향하던 무궁화호 열차 기관사는 두 역 관계자에게 “사상 사고 나서 지금 기관차 세웠습니다”라는 무전을 보냈다. 7분 뒤인 오전 10시 56분에도 구급차 출동 등이 이뤄지지 않자 기관사는 “빨리 와주세요. 여기 사람 쓰러져 있습니다”라며 “119 차량 한 대 와서는 안 됩니다”라는 무전을 재차 보냈다. 당시 상황이 얼마나 긴박했는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어 역 관계자가 “119 한 대로 안 된다는 말씀이죠?”라고 물었고, 기관사는 “총 7명입니다, 7명”이라며 “의식이 없고, 나머지도 다쳤기 때문에”라고 답했다. 사고 이전엔 ‘작업자가 있으니 유의해라’와 같은 다른 무전은 오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사고가 미흡한 안전 규칙과 부실한 관리로 인한 예고된 ‘인재’라는 정황도 추가로 드러났다. 서울신문이 확보한 사고일 작업계획서 등을 보면, 작업 전 제출된 ‘안전교육일지’에는 대체 투입된 작업자 2명의 이름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교량·터널 작업 용역으로 계약된 하청업체 직원을 급하게 옹벽 점검에 투입하느라 안전 교육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단 의미다.

특히 일지에 이름이 없었던 2명 중 1명은 ‘안전감시원’ 업무를 맡았는데, 감시원 역할에 대한 교육도 받지 않고 투입됐다가 이 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파악됐다. 작업자들은 옹벽 등 구조물 14곳을 이동하며 점검할 계획이었다. 선로 양쪽에 있는 옹벽 등을 확인하려면 선로를 건널 수밖에 없었지만, 작업은 열차를 멈추지 않고 진행하는 ‘상례 작업’으로 인가받았다.



이번 사고 여파로 코레일의 책임론이 커지면서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사의를 표명했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도 “조사 결과에 따라 엄중히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박효준 기자
2025-08-2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