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공족 대환영” ‘이 나라’ 스타벅스, ‘자습실’ 열었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수정 2025-07-22 17:10
입력 2025-07-22 17:10

스타벅스, 中 광둥성 일부 매장에 ‘자습실’ 제공
“하루종일 노트북 해도 돼…온수도 무제한 제공”
저가 커피업계에 고전…실적 부진에 매각설까지

이미지 확대
스타벅스 자료 사진. AFP 연합뉴스
스타벅스 자료 사진. AFP 연합뉴스


국내의 스타벅스 등 카페가 장시간 동안 자리를 점유하는 이른바 ‘카공족’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스타벅스가 이들을 겨냥한 ‘자습실’ 서비스를 시작해 화제가 되고 있다.

22일 중화망 등 중국 언론에 따르면 스타벅스 중국 지사인 스타벅스 차이나는 이날 공식 소셜미디어(SNS)에 “광둥성 일부 매장에 ‘싱즈(星子) 자습실’을 열었다”면서 “무더운 여름에 우리 매장이 여러분에게 공부할 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어 “미래에는 보다 많은 우리 매장이 다양한 취미를 지향하는 공간이 돼 커피가 여러분의 시간과 취미와 함께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실제 이날 중국 SNS는 선전과 광저우 등 정보기술(IT) 기업과 대학 등이 밀집한 광둥성의 주요 도시의 스타벅스에 ‘자습실’이 있다는 글과 사진이 다수 올라와 인기 검색어에 올랐다.

이미지 확대
스타벅스 중국 지사인 스타벅스 차이나는 22일 중국 광둥성 주요 도시의 일부 매장에 ‘자습실’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른바 ‘카공족’들이 시간 제한 없이 무선인터넷과 콘센트를 이용하며 공부나 업무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자료 : 중국 SNS
스타벅스 중국 지사인 스타벅스 차이나는 22일 중국 광둥성 주요 도시의 일부 매장에 ‘자습실’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른바 ‘카공족’들이 시간 제한 없이 무선인터넷과 콘센트를 이용하며 공부나 업무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자료 : 중국 SNS


이에 중국 언론들도 광둥성 주요 도시의 스타벅스를 찾아 자습실을 살펴봤다. 자습실은 직장인과 대학생들이 자주 찾는 매장에 마련됐으며, 주로 창가 등에 길게 설치된 1인용 테이블이 자습실로 지정돼 있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이들 매장의 자습실은 커피를 주문하는 것 외에 별도의 이용료를 받지 않으며 예약도 받지 않는다. 이용자들은 콘센트와 무선인터넷, 온수가 무제한 제공되는 자습실을 시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1999년 중국에 진출한 스타벅스는 현재 중국 전역에 7700여개가 넘는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현지 커피업계가 저가를 내세워 공격적으로 확장하면서 실적 부진을 이어가고 있다.

스타벅스의 중국 매출은 4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일부 음료 가격을 인하하고 무설탕 옵션을 내놓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실적 개선에 먹구름이 끼면서 매각설마저 여러 차례 제기됐다.

이미지 확대
스타벅스 매장 테이블에 칸막이를 세우고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헤드셋 등을 설치해 마치 개인 사무실처럼 꾸민 모습이 민폐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페이스북 캡처
스타벅스 매장 테이블에 칸막이를 세우고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헤드셋 등을 설치해 마치 개인 사무실처럼 꾸민 모습이 민폐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페이스북 캡처


김소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