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튀르키예의 재발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종락 기자
수정 2025-08-19 01:34
입력 2025-08-19 00:47
이미지 확대


튀르키예 앙카라의 한 호텔 로비에 앉아 있는데 한 청년이 말을 걸어왔다. 내가 첫눈에 봐도 한국인같이 보여 아는 척을 했단다. 28세인 이 청년은 한국과 튀르키예는 ‘형제국’이 아니냐고 대뜸 묻는다. 한국전쟁 당시 1만 5000명의 튀르키예군이 한반도에서 목숨을 걸고 싸운 만큼 ‘혈맹’이라는 것이다.

많은 튀르키예인들은 아직도 2002년 한일월드컵 3·4위전에서 튀르키예 국기를 흔들며 열렬히 응원해 주던 한국 사람들을 잊지 못한다고 했다. 길이 3.6㎞로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인 튀르키예의 자랑거리 ‘1915 차나칼레’도 “한국 기업(DL이앤씨와 SK에코플랜트)이 건설하지 않았냐”고 반문한다.

사실 튀르키예에 오기 전까지 부정적인 선입견이 있었다. 아직 농업국이고, 화폐인 리라의 환율이 폭락해 인플레이션이 심한 나라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실제로 보니 이웃 나라 그리스보다 훨씬 활기차 보였다. 지난해 2.9%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시장 전망도 밝다.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시장 다변화가 시급한 만큼 우리나라에 우호적인 튀르키예 시장을 확대하는 게 답이 될 수 있다.

이종락 상임고문
2025-08-19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