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우크라이나판’ 얄타회담

오일만 기자
수정 2025-08-12 00:46
입력 2025-08-11 23:51

1945년 2월, 크림반도의 휴양지 얄타에서 루스벨트·처칠·스탈린이 마주 앉아 전후 세계질서를 그렸다. 동유럽의 소련 점령과 한반도 38선 분할 점령까지. 당사국의 동의 없이 강대국의 펜 끝에서 운명이 정해졌다. 이 얄타회담은 냉전의 서막이자 한반도 분단의 출발점으로 기억된다. 강대국 간 합의는 늘 그들의 이해를 우선하지만, 힘없는 당사국엔 깊은 상처를 남겼다.
15일(현지시간) 알래스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단독 회담을 갖는다.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이 의제지만, 당사자인 우크라이나와 안보가 걸린 유럽은 배제된 구조다. 이번 회담은 비공식 채널을 통한 물밑 조율 속에서 성사됐다. 트럼프의 최측근 외교안보 라인이 모스크바와 접촉해 회담 형식을 ‘정전 협상’이 아닌 ‘대국 간 이해 조율’로 설정했다는 보도가 잇따랐다. 푸틴 역시 서방과의 다자 협상보다 트럼프와의 단독 담판에서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판단했다. 2차 세계대전 말 얄타회담에서 연합국 정상 3인이 모든 주요 사안을 단독 합의로 정리했던 방식과 닮았다.
노벨평화상을 염두에 둔 트럼프는 ‘신속한 평화’를 위해 러시아 점령지를 기정사실화하고 나토 확장을 늦추는 거래를 원할 수 있다. 푸틴은 제재 해제, 점령지 국제 인정, 우크라이나 중립화를 전리품으로 삼으려 한다. 전쟁 종식의 명분을 앞세워 각자의 이익을 챙기려는 계산이다. 휴전을 넘어 전후 구도까지 좌우할 이 만남에 ‘얄타회담’이 오버랩되는 이유다.
국제질서는 냉정하다. 힘 있는 나라가 회담장 자리를 차지하고 약소국은 종종 문 밖에서 결과를 통보받는다. 이라크 전쟁, 시리아 내전, 아프리카 분쟁에서도 당사국 목소리는 뒷전이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한 나라의 운명이 어떻게 강대국의 협상 테이블에서 재단될 수 있는지를 보여 줬다. 전장에서뿐 아니라 외교 테이블에서도 스스로의 자리를 지키지 못하는 국가는 타인의 손에 국가의 운명을 맡기게 된다.
오일만 논설위원
2025-08-12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