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영어권 정상에 “어디서 배웠냐”…황당 칭찬에 쓴웃음 (영상)[포착]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수정 2025-07-10 11:29
입력 2025-07-10 11:29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 7월 9일 워싱턴 백악관 국빈식당에서 열린 아프리카 정상들과의 오찬 중 발언하고 있다. 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 7월 9일 워싱턴 백악관 국빈식당에서 열린 아프리카 정상들과의 오찬 중 발언하고 있다. AP뉴시스


이미지 확대
트럼프 대통령이 영어 구사 능력을 칭찬한 직후 보아카이 대통령이 지은 표정. 백악관 페이스북 캡처
트럼프 대통령이 영어 구사 능력을 칭찬한 직후 보아카이 대통령이 지은 표정. 백악관 페이스북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영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라이베리아 대통령에게 영어 구사 능력을 칭찬하며 “어디서 그렇게 멋지게 말하는 법을 배웠냐”고 물어 구설에 올랐다.

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CNN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조지프 보아카이 라이베리아 대통령 등 아프리카 정상들과 오찬을 가졌다. 라이베리아는 아프리카 서부에 위치한 국가로, 영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며 미국의 해방 노예들이 이주해 건국한 역사를 갖고 있다.

오찬에서 보아카이 대통령은 영어로 “라이베리아는 미국의 오랜 친구”라며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기회를 주셔서 감사하다”며 미국의 투자를 요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영어가 정말 훌륭하다. 어디서 그렇게 멋지게 말하는 것을 배웠나. 어디서 공부했나?”라고 물으며 감탄을 표했다. 그러나 라이베리아는 영어권 국가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현장을 순간적으로 얼어붙게 만들었다.

이미지 확대
백악관 페이스북 영상.
백악관 페이스북 영상.


보아카이 대통령은 당황한 듯 웃으며 “모국에서 교육을 받았다”고 답했지만, 워싱턴포스트는 “보아카이 대통령은 정중하게 웃으면서도 영어가 라이베리아의 공식 언어라는 언급은 피했다”고 전했다.

미국은 1816년 미국식민협회(ACS)를 조직해 해방된 흑인 노예들을 아프리카에 재정착시키려 했고, 1822년 라이베리아에 첫 이주가 이뤄졌다. 이후 1847년 독립을 선언하면서 아프리카 최초의 공화국이 됐으며 ‘자유의 나라’라는 의미를 갖게 됐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라이베리아 국민들이 불쾌감을 느꼈다고 전했다. 한 라이베리아인은 “우리나라는 영어권 국가이기 때문에 모욕감을 느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질문은 칭찬으로 받아들일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라이베리아 외교관도 CNN에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적절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유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