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 중환자실 환자까지 살린다 [달콤한 사이언스]

유용하 기자
수정 2025-09-20 14:00
입력 2025-09-20 14:00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의대(WVU) 암연구소 제공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음악은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음악이 스트레스 감소, 심리적 안정, 생리적 안정성 향상, 뇌 활성화, 우울감 해소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미국 중환자 치료의학회(SCCM)에서도 음악 치료는 중증 환자를 위한 표준 치료 지침 중 하나로 권고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멕시코 과나후아토대 의대 연구팀은 심장질환 중환자실(ICU)에 입원한 환자에게 음악 치료를 실시한 결과 환자의 심박수, 혈압, 환자-인공호흡기 비동기화 등을 상당 부분 개선할 수 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18~20일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미국 심장학회(ACC) 남미 2025’ 컨퍼런스에서 발표됐다.
음악 치료는 음악의 건강 효과에 착안해 스트레스를 줄이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음악과 그 요소를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2024년 7월부터 9월까지 관상동맥 질환으로 심장질환 ICU에 입원한 18세 이상 남녀 환자 24명을 두 집단으로 나눠 음악 치료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 분석했다. 실험에 참여한 환자들은 모두 의식이 명료해 자기 판단 능력을 갖추고, 청각 장애도 없었다.
연구팀은 한 쪽 집단에는 5일 동안 매일 45분씩 15㏈(데시벨)의 음악을 들려주고, 다른 쪽에는 음악을 들려주지 않고 치료를 했다. 그 결과, 음악 치료 집단에 속한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심박수, 수축기-이완기 혈압, 환자-인공호흡기 비동기화가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이 관찰됐다.
연구를 이끈 일라니 파올라 산토요 페레즈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음악 치료가 심장 중환자실 같은 고도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심박수, 혈압 같은 생리적 변수를 안정시키는 데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페레즈 박사는 “음악 치료를 병행한다면 신체 고통을 줄이고, 편안함을 증진해 전체적으로 환자의 웰빙을 높일 수 있는 만큼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유용하 과학전문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