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어도 찰진 밥맛… 맘카페 입소문 자자
김상화 기자
수정 2025-10-28 00:17
입력 2025-10-28 00:17
경북 안동시
백진주쌀
안동시 제공
경북 안동농협이 생산하는 ‘백진주쌀’은 쌀의 명품으로 통한다.
흰 쌀알이 뽀얗고 윤기가 흐르는 모습이 마치 진주 같다고 해서 이 이름이 붙여졌다. 밥을 지으면 윤기와 식감이 남달라 옛 가마솥 쌀밥의 향수를 떠올리게 한다. 2016년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한 밥맛이 남다른 ‘米’s KOREA’를 수상하면서 명품 대열에 합류했다.
원동력은 철저한 품질 관리에 있다. 안동농협은 2002년부터 조합원들과 전량 계약 재배해 순수 단일 품종 백진주쌀 생산을 고집한다. 이 쌀은 농촌진흥청과 안동시농업기술센터가 2001년 ‘일품벼’를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개발한 품종이다.
안동농협은 먼저 좋은 쌀 생산을 위해 종자와 비료·영양제·토양개량제 등을 무료 공급하고, 항공방제를 통해 각종 영양제와 친환경제제를 적기에 살포한다. 또 농가에 일지를 작성토록 하는 생산이력추적제를 도입했다.
품질 고급화를 위해 혼입, 미출하, 적정 출하 위반 등을 한 농가에 ‘삼진아웃제’를 적용한다. 수매할 때 DNA 분석 등을 통해 품종 순도 100% 관리에도 만전을 기한다. 신선도 유지를 위해 주문 당일 도정, 즉시 배송을 원칙으로 한다.
이렇게 생산된 백진주쌀은 녹말의 한 종류인 아밀로오스 함량이 일반쌀의 절반에 불과한 9%대로, 밥을 지으면 아주 구수하고 부드러운 맛이 난다. 밥이 쉽게 상하지 않으며 식어도 딱딱해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먹어 본 사람들은 그 맛에 재구매하고 맘 카페에서도 맛있는 쌀로 공유되기 시작했다.
대형 유통업체 코스트코 입점이나 수출 등으로 유통 경로도 확대하고 있다. 특히 ‘밥 잘 안 먹는 우리 아이 밥 먹게 하는 쌀’로 백진주의 이미지가 대표되면서 매년 품절 사태를 일으키고 있다.
권태형 안동농협 조합장은 “백진주쌀은 농민과 농협이 함께 지켜 온 협동의 결실이자 안동 농업의 대단한 자부심”이라며 “전국 소비자들에게 진정한 밥맛의 가치를 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안동 김상화 기자
2025-10-2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