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열병식 참석 시 처벌”…대만 당국, 야당 인사 초청에 경고

윤태희 기자
윤태희 기자
수정 2025-09-02 17:02
입력 2025-09-02 17:02
이미지 확대
중국 인민해방군 장병들이 2025년 8월 20일 베이징의 한 부대에서 9월 3일 열리는 ‘항일전쟁 승리 80주년’ 기념 열병식을 앞두고 열을 맞춰 행진을 연습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중국 인민해방군 장병들이 2025년 8월 20일 베이징의 한 부대에서 9월 3일 열리는 ‘항일전쟁 승리 80주년’ 기념 열병식을 앞두고 열을 맞춰 행진을 연습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오는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反)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대만 제1야당 국민당 주요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 당국은 “법에 따라 처벌할 것”이라며 강경 대응 방침을 재확인했다.

참석 논란과 경고자유시보와 중국시보 등에 따르면 대만 안보당국은 국민당의 훙슈주 전 주석, 리젠룽 전 비서장, 허잉루 중앙상무위원회 위원이 참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신당의 우청뎬 주석, 노동당·통일연맹당 관계자 등 10여 명이 초청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안보당국 관계자는 “국민당 고위 인사의 참석은 국제사회에 ‘대만 주요 정당이 중국의 주장에 동조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며 외교적 이미지 훼손을 우려했다.

대만 당국의 대응
이미지 확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2025년 9월 2일 타이베이에서 국군의 날을 앞두고 열린 장병 포상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중국이 대규모 열병식을 열기 하루 전에 진행됐다. EPA 연합뉴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2025년 9월 2일 타이베이에서 국군의 날을 앞두고 열린 장병 포상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중국이 대규모 열병식을 열기 하루 전에 진행됐다. EPA 연합뉴스


대륙위원회는 정당·법인·단체·개인이 중국 열병식에 참석하거나 협력할 경우 ‘대만지구와 대륙지구 인민관계조례’(양안조례)에 따라 처벌하겠다고 밝혔다.

선유중 부주임위원은 “중국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 이번 열병식은 비(非)민주국가의 맹주를 자처하려는 시도”라며 “신형 무기 공개 등 무력 과시로 대만을 압박하려는 목적이 뚜렷하다”고 지적했다.

안보당국도 참석 예정자들에게 이미 경고했으며, 이를 무시할 경우 개별 사안에 따라 처벌을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불확실한 참석 여부
이미지 확대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대만 국민당 훙슈주 당시 주석이 2016년 11월 1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국공(國共) 회담을 앞두고 악수하고 있다. 이날 시 주석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거듭 강조했다. AP 연합뉴스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대만 국민당 훙슈주 당시 주석이 2016년 11월 1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국공(國共) 회담을 앞두고 악수하고 있다. 이날 시 주석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거듭 강조했다. AP 연합뉴스


국민당 인사들의 최종 참석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훙 전 주석 측은 입장을 내놓지 않았고 리 전 비서장은 건강 문제로 불참을 시사했다. 허 위원은 초청장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앞서 대륙위원회는 지난달 공무원·전직 관료·연예인 등에게도 열병식 참석을 금지했으며 위반 시 연금 중단, 벌금, 메달 몰수 등 제재를 경고한 바 있다. 이후에도 불참령을 거듭 강조하며 중국의 역사 왜곡에 대응해 왔다.

중국-대만 긴장 고조
이미지 확대
중국 베이징 톈안먼 광장 전경. 오는 9월 3일 이곳에서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 기념 열병식이 열릴 예정이다. 2025년 9월 2일 촬영. 타스 연합뉴스
중국 베이징 톈안먼 광장 전경. 오는 9월 3일 이곳에서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 기념 열병식이 열릴 예정이다. 2025년 9월 2일 촬영. 타스 연합뉴스


로이터통신은 이번 열병식 비용이 중국 국방비의 약 2%인 36억 위안(약 7016억원)에 해당한다며 이를 통해 중국이 국가 이미지를 과시하고 대만을 압박하려 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열병식은 단순한 기념행사를 넘어 동아시아 정세와 대만 정치에 새로운 긴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만 당국은 법적 제재와 외교적 이미지 수호를 강조하는 한편, 국민당 내부에서는 참석 여부를 둘러싼 입장이 엇갈리며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