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관규 시장 “생태수도로서의 순천 모델, 지역 소멸 위기 넘어 웰니스 도시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수정 2025-10-23 00:37
입력 2025-10-23 00:37
이미지 확대
노관규 전남 순천시장
노관규 전남 순천시장


“우리나라 기초지자체 최초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정식 가입해 생태도시로서의 국제적 위상을 강화한 것은 시민들과 함께해 온 노력의 결실입니다.”

지난 9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세계자연보전총회(WCC)에 참석해 자연기반해법 사례를 발표하고 IUCN 고위 관계자들과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한 노관규 전남 순천시장은 22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순천시가 국제 생태협력과 지속 가능한 도시 모델 개발에 선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생태수도의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리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노 시장은 “다른 도시들이 산업 성장을 논할 때 순천은 사람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혁신적 생태도시 모델을 구축했다”며 “순천의 경험이 국내 지방정부는 물론 세계질서 속에서 지속 가능 발전과 지방 소멸 대응을 위한 혁신적인 해법이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2006년 첫 취임 이후 도시의 생태 보전과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비전을 직접 수립하고 강력하게 추진해 왔다. 특히 2009년 순천만 일대 전봇대 282개 철거라는 과감한 결단은 순천시를 생태도시로 탈바꿈시키는 출발점이 됐다. 그 결과 멸종위기종 흑두루미를 비롯한 다양한 야생동물의 서식을 가능하게 하는 생태계 보전에 성공하면서 순천만은 국내외 생태계의 보고로 널리 알려졌다.

10년 후 민선 8기 시장으로 돌아온 노 시장은 미래 비전을 통해 순천시를 호남 최고의 도시로 성장시키고 있다. 특히 2023년 국제정원박람회 성공 개최는 그의 생태도시 전략이 완성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중대한 분기점이었다. 그해 순천은 에버랜드 등 국내 유명 관광지를 제치고 최고의 관광지로 자리매김했다.

노 시장은 이후 문화, 우주방산, 바이오라는 3대 경제축에 이어 ‘치유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다. 치유산업은 숙박과 체류형 관광 생태계로 확장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와 브랜드 가치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 시장은 “순천만, 국가정원, 동천, 선암사와 송광사 등 순천이 가진 풍부한 생태 자원이야말로 곧 치유 자산”이라며 “상시 분노 상태에 놓여 있는 현대인들이 대한민국에서 꼭 한번은 가 보고 싶은 힐링, 웰니스 도시로 순천을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순천 최종필 기자
2025-10-2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